피너클의 it공부방
백준 1717 집합의 표현 (c++) : 피너클 본문
728x90
반응형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717
1717번: 집합의 표현
첫째 줄에 n(1 ≤ n ≤ 1,000,000), m(1 ≤ m ≤ 100,000)이 주어진다. m은 입력으로 주어지는 연산의 개수이다. 다음 m개의 줄에는 각각의 연산이 주어진다. 합집합은 0 a b의 형태로 입력이 주어진다. 이는
www.acmicpc.net
유니온 파인드 문제다.
int n, m;
int parent[1000001];
사용할 변수다.
parent[5] = 10이라면 5의 조상이 10이라는 의미다.
parent[i] = j이라면 i의 조상이 j이라는 의미다.
int find(int u) {
if (u == parent[u]) return u;
return parent[u] = find(parent[u]);
}
find함수다. u의 조상을 반환한다.
void merge(int u, int v) {
u = find(u), v = find(v);
if (u == v) return;
parent[u] = v;
}
merge함수다. u와 v를 합친다.
cin >> n >> m;
for (int i = 1; i <= n; i++) parent[i] = i;
메인함수에서 n과 m을 입력받은뒤 parent를 초기화한다.
for (int i = 0; i < m; i++) {
int a, b, c;
cin >> a >> b >> c;
if (a == 0) merge(b, c);
else {
if (find(b) == find(c)) cout << "YES" << '\n';
else cout << "NO" << '\n';
}
}
그후 m만큼 a, b, c를 입력받는다.
a == 0이라면 b와 c를 합친다.
a == 1이라면 b의 조상과 c의 조상이 같다면 YES를 출력하고 아니면 NO를 출력한다.
#include <iostream>
using namespace std;
int n, m;
int parent[1000001];
int find(int u) {
if (u == parent[u]) return u;
return parent[u] = find(parent[u]);
}
void merge(int u, int v) {
u = find(u), v = find(v);
if (u == v) return;
parent[u] = v;
}
int main() {
ios_base::sync_with_stdio(false);
cin.tie(0);
cout.tie(0);
cin >> n >> m;
for (int i = 1; i <= n; i++) parent[i] = i;
for (int i = 0; i < m; i++) {
int a, b, c;
cin >> a >> b >> c;
if (a == 0) merge(b, c);
else {
if (find(b) == find(c)) cout << "YES" << '\n';
else cout << "NO" << '\n';
}
}
}
728x90
반응형
'백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백준 2003 수들의 합 2 (c++) : 피너클 (0) | 2022.09.02 |
---|---|
백준 2644 촌수계산 (c++) : 피너클 (0) | 2022.09.02 |
백준 1028 다이아몬드 광산 (c++) : 피너클 (0) | 2022.09.01 |
백준 2522 별 찍기 - 12 (c++) : 피너클 (0) | 2022.08.31 |
백준 3053 택시 기하학 (c++) : 피너클 (0) | 2022.08.31 |
Comments